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알 카임(카이로 칼리파)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정통 칼리파
제2대
정통 칼리파
제3대
정통 칼리파
제4대
정통 칼리파
아부 바크르우마르우스만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
제5대
정통 칼리파
1
제6대
우마이야 왕조
제7대
우마이야 왕조
제8대
우마이야 왕조
하산 이븐 알리무아위야 1세야지드 1세무아위야 2세
제9대
우마이야 왕조
제10대
우마이야 왕조
제11대
우마이야 왕조
제12대
우마이야 왕조
마르완 1세아브드 알 말리크왈리드 1세술라이만
제13대
우마이야 왕조
제14대
우마이야 왕조
제15대
우마이야 왕조
제16대
우마이야 왕조
우마르 2세야지드 2세히샴왈리드 2세
제17대
우마이야 왕조
제18대
우마이야 왕조
제19대
우마이야 왕조
제20대
아바스 왕조
야지드 3세이브라힘 이븐 알 왈리드마르완 2세아부 알 아바스
제21대
아바스 왕조
제22대
아바스 왕조
제23대
아바스 왕조
제24대
아바스 왕조
알 만수르알 마흐디알 하디하룬 알 라시드
제25대
아바스 왕조
제26대
아바스 왕조
제27대
아바스 왕조
제28대
아바스 왕조
알 아민알 마문알 무타심알 와시크
제29대
아바스 왕조
제30대
아바스 왕조
제31대
아바스 왕조
제32대
아바스 왕조
알 무타와킬알 문타시르알 무스타인알 무타즈
제33대
아바스 왕조
제34대
아바스 왕조
제35대
아바스 왕조
제36대
아바스 왕조
알 무흐타디알 무타미드알 무타디드알 무크타피
제37대
아바스 왕조
제38대
아바스 왕조
제39대
아바스 왕조
제40대
아바스 왕조
알 무크타디르알 카히르알 라디알 무타키
제41대
아바스 왕조
제42대
아바스 왕조
제43대
아바스 왕조
제44대
아바스 왕조
알 무스탁피알 무티알 타이알 카디르
제45대
아바스 왕조
제46대
아바스 왕조
제47대
아바스 왕조
제48대
아바스 왕조
알 카임알 무크타디알 무스타지르알 무스타르시드
제49대
아바스 왕조
제50대
아바스 왕조
제51대
아바스 왕조
제52대
아바스 왕조
알 라시드알 묵타피알 무스탄지드알 무스타디
제53대
아바스 왕조
제54대
아바스 왕조
제55대
아바스 왕조
제56대
아바스 왕조
알 나시르알 자히르알 무스탄시르 1세알 무스타심
제57대
아바스 왕조
제58대
아바스 왕조
제59대
아바스 왕조
제60대
아바스 왕조
알 무스탄시르 2세알 하킴 1세알 무스탁피 1세알 와시크 1세
제61대
아바스 왕조
제62대
아바스 왕조
제63대
아바스 왕조
제64대
아바스 왕조
알 하킴 2세알 무타디드 1세알 무타와킬 1세알 무스타심
제63대2
아바스 왕조
제65대
아바스 왕조
제64대2
아바스 왕조
제63대3
아바스 왕조
알 무타와킬 1세알 와시크 2세알 무스타심알 무타와킬 1세
제66대
아바스 왕조
제67대
아바스 왕조
제68대
아바스 왕조
제69대
아바스 왕조
알 무스타인알 무타디드 2세알 무스탁피 2세알 카임
제70대
아바스 왕조
제71대
아바스 왕조
제72대
아바스 왕조
제73대
아바스 왕조
알 무스탄지드알 무타와킬 2세알 무스탐식알 무타와킬 3세
제72대2
아바스 왕조
제73대2
아바스 왕조
제74대
오스만 왕조
제75대
오스만 왕조
알 무스탐식알 무타와킬 3세셀림 1세쉴레이만 1세
제76대
오스만 왕조
제77대
오스만 왕조
제78대
오스만 왕조
제79대
오스만 왕조
셀림 2세무라트 3세메흐메트 3세아흐메트 1세
제80대
오스만 왕조
제81대
오스만 왕조
제80대2
오스만 왕조
제82대
오스만 왕조
무스타파 1세오스만 2세무스타파 1세무라트 4세
제83대
오스만 왕조
제84대
오스만 왕조
제85대
오스만 왕조
제86대
오스만 왕조
이브라힘 1세메흐메트 4세쉴레이만 2세아흐메트 2세
제87대
오스만 왕조
제88대
오스만 왕조
제89대
오스만 왕조
제90대
오스만 왕조
무스타파 2세아흐메트 3세마흐무트 1세오스만 3세
제91대
오스만 왕조
제92대
오스만 왕조
제93대
오스만 왕조
제94대
오스만 왕조
무스타파 3세압뒬하미트 1세셀림 3세무스타파 4세
제95대
오스만 왕조
제96대
오스만 왕조
제97대
오스만 왕조
제98대
오스만 왕조
마흐무트 2세압뒬메지트 1세압뒬아지즈무라트 5세
제99대
오스만 왕조
제100대
오스만 왕조
제101대
오스만 왕조
제102대
오스만 왕조
압뒬하미트 2세메흐메트 5세메흐메트 6세압뒬메지트 2세
^^ 1 : 아부 바크르, 우마르, 우스만, 알리 등 이 4명만 정통 칼리파로 인정받지만 하산도 잠깐 동안이지만 칼리파 자리에 있었기 때문에 포함한다.



아바스 왕조 제50대 칼리파
알 카임
ابو الباقة حمزة القائم بأمر الله
이름아부 알 바카 함자 알 카임 비암리 알라
ابو الباقة حمزة القائم بأمر الله
출생미상
맘루크 왕조 카이로
사망1458년
맘루크 왕조 카이로
재위 기간아바스 칼리파
813년 9월 27일 ~ 833년 8월 7일 (20년)
전임자알 무스탁피 2세
후임자알 무스탄지드
별명알 카임 비암리 알라(القائم بأمر الله: 신의 명령을 수행하는 자)
부모아버지 : 알 무타와킬 1세
어머니 : 베이 카툰
종교이슬람 수니파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아바스 왕조 50대 칼리파.


2. 생애[편집]


알 무타와킬 1세의 아들이자 알 무스타인 2세, 알 무타디드 2세, 알 무스탁피 2세의 형제로, 1451년 1월 29일 알 무스탁피 2세가 사망한 뒤 앗 살리흐 살라흐 앗 딘 살리흐에 의해 새 칼리파로 등극했다. 얼마 후 살리흐 술탄이 폐위되고 알 아슈라프 사이프 앗 딘 이날이 새 술탄으로 등극했다. 1455년, 베두인 부족이 알부하이라 지방을 침공하여 약탈을 자행했다. 이날은 이를 막기 위해 맘루크 병사 500명을 그곳에 배치하기로 했다. 그런데 술탄은 이집트의 열악한 경제 상황 때문에 낙타를 지급해야 하는 관습을 준수하지 않았다. 이에 불만을 품은 맘루크들은 카이로의 말 시장에 모여서 원정을 참여하기를 거부했다.

500 명의 맘루크들은 이날의 부관인 유누스 알 아크바이가 카이로 성채를 떠날 때 죽이려 했으나 실패하고 경호원의 공격을 받아 맘루크 몇 명이 부상당했다. 이후 최근에 이날에게 해산된 자히리들과 합류한 뒤 더 높은 봉급을 지급하고 유누스를 넘기라고 요구하며 카이로 성채를 포위했다. 이날은 이들을 달래기 위해 전부 사면해주고 부상당한 맘루크들에게 보상해주겠다고 제안했지만, 그들은 이를 거부하고 이날이 보낸 전령을 심하게 구타했다. 이날은 4명의 에미르를 보내 협상하게 했으나, 맘루크들은 에미르들을 인질로 삼고 이날을 계속 압박했다.

이러한 상황을 쭉 지켜본 그는 지금이야말로 술탄에게서 벗어나 진정한 칼리파로서 입지를 굳건히 다질 기회라고 여겼다. 그는 맘루크들에게 지지를 표명하며, 시민들에게 봉기에 가담할 것을 호소했다. 칼리파가 봉기의 정당성을 인정해주자, 맘루크들은 기세등등해져 성채를 공격했다. 이에 이날은 성채의 맘루크 근위대를 총동원해 반란군에 반격했고, 반란군은 결국 패퇴했다. 이후 이날은 반란을 지지한 그를 체포해 알렉산드리아에 감금하고 폐위한 뒤 그의 동생인 알 무스탄지드 2세를 새 칼리파로 옹립했다. 이후 3년간 알렉산드리아에 갇혀 지내다 1458년경에 사망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12:20:50에 나무위키 알 카임(카이로 칼리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